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터넷의 태동과 교훈

전문가 제언

모든 것이 계획대로 진행되었다면 인터넷은 결코 태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 계획은 35년 전에 고안된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로 알려진 컴퓨터 네트워크의 표준화 작업으로 지구상의 모든 사용자들이 쉽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완전 개방된 다중계층으로 설계되었다.

 

1990년 OSI가 주춤하는 동안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저렴하고 신속한 인터넷의 전송제어 프로토콜(TCP)과 인터넷 프로토콜(IP)로 인해 인터넷 옹호자들은 ‘OSI는 아름다운 꿈이고 TCP/IP가 현실이다’라고 말하면서 TCP/IP의 효율성을 주장하였다.

 

데이터 그램은 연결경로를 확정하지 않고 패킷을 순서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것을 발전시켜 전송제어 프로토콜 기술을 확립하여 알파넷의 TCP/IP에 사용된 용어인 ‘인터넷’의 기본기술로 제공되었다.

 

OSI는 많은 관심 집단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결국 붕괴되었다. 이것은 개방 인터넷의 생존능력을 위해 진화하는 새로운 요구를 항상 충족하려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최근 사람, 사물, 공간 등 많은 것들이 인터넷으로 상호 연결되어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공유되는 사물 인터넷으로 진화되고 있다. 사물 인터넷 개념은 M2M, IoT(Internet of Things), IoE(Internet of Everything)으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으로 창출되는 경제적 추정효과는 천문학적으로 기업의 생산성과 새로운 시장창출이 크게 기대된다.

 

인터넷의 태동과 발전은 사용자 요구와 관련됨을 숙지하여 국내 축적된 관련 기술의 효율적인 응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진화되고 있는 사물 인터넷과 관련 기술들을 국내 기업들의 중복투자와 과도한 경쟁을 최소화하여 국제적으로 선점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저자
Andrewl Russel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3
권(호)
50(8)
잡지명
IEEE spectrum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9~43
분석자
조*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