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이온 계면활성제 주형을 사용한 중간세공 실리카

전문가 제언

골격구조를 가진 다공성 물질의 합성에서 변천을 보면 처음에는 단일 분자를 주형으로 사용하다가 계면활성제의 미셀과 같은 초분자를 주형으로 사용하면서 중간세공(2~50nm) 물질이 합성되어 작은세공(≤2nm)을 극복하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중간세공 실리카의 합성에서는 계면활성제(S) 미셀과 선구물질(I)이 정전기적 또는 수소결합에 의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실리카는 등전점(pI)이 2 근방으로 pH≫2에서는 음전하(I)를 띄고 있어 양이온 계면활성제(S+)와 S+I 상호작용이 쉬우나 음이온 계면활성제(S)와는 상호작용이 어렵다. pH<2에서는 실리카 화학종이 음전하를 가질 수 있지만 용해도가 매우 낮고 음이온 계면활성제도 양성자화 되어 이온으로 존재하지 않아 중간세공 물질의 합성이 어렵다.

 

새로운 착상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실리카 화학종과 축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동시에 가진 아미노실란이나 사차염 암모늄을 포함한 실란을 공동구조 유도물질(CSDA)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면서 다양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주형의 중간세공 실리카(AMS)들이 합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국내에서도 WCU, IBS 등에서 연구과제로 삼고 있을 만큼 중간세공을 비롯한 다공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고 최근 새로운 합성방법, 안정화방법 등이 활발하게 연구되었고 기능기를 부여하여 흡착에 응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교육용 총설은 중요 착안점을 강조한 것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고자 하는 분이 살펴보면 유익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Lu Han and Shunai Ch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3
권(호)
42()
잡지명
Chemical Socie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740~3752
분석자
어*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