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셰일가스 탐광, 개발에 관한 최신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일본 석유천연가스 금속광물 자원기구(JOGMEC: Japan Oil, Gas and Metals National Corporation)에서는 셰일가스에 관한 최신기술동향을 조사하려고 2011년도에 「셰일가스의 탐광?개발에 관한 최신기술동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보고서는 동향조사결과를 토대로 셰일개발의 현상과 최신동향에 대하여 보고한 내용이다.

 

셰일가스와 셰일오일 개발은 북미지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서 셰일가스와 셰일오일의 생산이 북미지역의 전체 가스 생산과 석유생산에서 점유하는 비율이 증대되었다. 셰일(혈암)은 침투성이 극히 낮아 생산성을 높이려면 긴 수평 가스정의 다단계 파쇄기술이 필요하다. 대량의 파쇄용액을 이용한 수압파쇄기술이 이용되어 복잡한 파쇄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어서 생산원가를 낮추고 있다.

 

현재 셰일개발은 주로 북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셰일가스 개발지역으로는 Texas주의 Barnett Shale, Oklahoma주의 Wood Ford Shale, Arkansas주의 Fayetteville, Texas주와 Louisiana주 경계에 위치하는 Haynesville Shale, Ohio주, West Virginia주, Pennsylvania주, New York주로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Marcellus Shale 등을 들 수 있다.

 

우리 정부는 2020년까지 국내 LNG 도입량의 20퍼센트를 셰일가스로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17년부터 북미산 셰일가스를 도입하고, 북미산 셰일가스 가격이 현재와 같이 하향 안정될 경우에는 2020년부터 한국가스공사 및 민간 직수입 물량을 포함해 연간 8백만 톤 이상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한국가스공사는 2012년 1월 미국의 Sabine Pass와 LNG 구매계약을 체결했고, 캐나다산 셰일가스 수입을 위해 LNG 액화플랜트 사업을 추진 중이다.

 

가스공사 등 공기업 외에도 민간 기업이 셰일가스 산업에 활발히 투자할 수 있도록 2020년까지 셰일가스 분야 투자확대를 위한 자원개발 분야 수출입은행 여신 규모를 21조 원으로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셰일가스 관련 민간펀드 활성화를 위해 무역보험공사의 투자위험보증 규모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저자
Y. Ishise,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3
권(호)
92(7)
잡지명
日本エネルギ―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54~561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