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기 및 폴리머기 경량복합재료
- 전문가 제언
-
자동차에서는 연비절감을 위하여 경량구조재로서 금속 또는 폴리머 복합재료의 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복합재료는 자기특성, 역학특성, 전기적 특성, 물리적 특성 등을 가지며, 기능성으로는 자기치유성(self-healing), 자기윤활성(self-lubrication), 자기정화성(self cleaning), 손상탐지(damage sensing) 등의 기능을 갖는다.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는 자동차 구조체와 풍력발전의 터빈블레이드에서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왔으나, 폴리머기 복합재료는 내열한계 때문에 엔진부품용으로는 사용이 곤란하여 금속기 복합재료의 개발이 활발하다. JOM vol.66, no.6호에는 이에 관한 13편의 특집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다기능성 복합재료에 대해 4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Ferguson 등은 자기치유 금속기 복합재료의 기술 현황을 고찰하였고, Dorri 등은 자기치유성, 자기윤활성 금속기 복합재료와 나노복합재료의 기술 현황과 장래 전망에 대하여 고찰하고, 미세조직에서 유래하는 고상 또는 액상 윤활제에 의한 자기윤활의 유용성과 치유제의 방출이나 형상기억재료의 이용에 의한 자기치유를 검토하였다. Orbulov 등은 중공입자(hollow particle)를 충전하여 합성한 복합재료(syntactic foam)의 특성을 연구하고, 자동차의 충격흡수체로 유용함을 보고하였다. Shunmugasamy 등은 중공 SiC입자의 압축특성을 시험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재료의 특성을 예측하는 이론모델을 제시하였다.
- 저자
- Nikhil Gupt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6(6)
- 잡지명
- JOM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862~865
- 분석자
- 심*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