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방지 자동차의 진화
- 전문가 제언
-
○ 차량사고의 대부분은 운전 중 전화와 문자전송, GPS 조작 등이 원인 으로 미국의 경우 운전자 부주의가 상대방을 다치게 하는 사고의 20% 를 차지한다. 능동형 안전시스템(active-safety system)은 주변교통 환경에 존재하는 충돌위협을 운전자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최근 높은 음향(loud sound), 가시적 경고(visual alerts), 운전자 좌석진동 그리고 위급 시 자동브레이크 작동 등 충돌방지를 위한 관련 부품이 개발되고 있어 보다 능동적인 안전시스템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 이것은 졸음운전과 곁눈질 운전으로 자동차가 앞차 또는 보행자에게 접근하게 되면 카메라가 인식하여 소리로 경고하며,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량을 정지 또는 감속하여 충돌피해를 최소화한다.
○ 자동화된 운전 시스템이 완전히 운전자를 대신한다면 운전석은 최고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으로 설계된다. 자동화된 운전시스템 덕분에 2050년도의 차는 지금과 전혀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
○ 측면과 후면의 충돌방지 장치뿐만 아니라 안전거리 조절장치와 차선이탈 방지장치를 보완 사용함으로써 편안하고 안전한 운전을 기대하는 완벽한 충돌방지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디자인, 연비 등 자동차의 다양한 특성 중 주요 요소는 안전성이지만 비용을 고려한 안전성의 연구도 필요하다.
○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는 사고 시 탑승자 안전중심의 수동형 예방장치에 주력하고 있어 자동차 선진국의 충돌방지를 위한 능동형 장치의 실용화에 비교하면 매우 낙후된 실정이다.
○ 국내 모든 자동차에 장착 가능한 능동형 충돌방지 장치의 대중화를 위하여 자동차 제조업체와 관련기관이 기술개발을 위한 정책수립과 과감한 투자를 집행함으로써 새로운 자동차문화의 구축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 저자
- John Capp G, Bakhtiar Lltkouh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51(5)
- 잡지명
- IEEE spectrum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3~37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