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조직단계 변화의 정교한 조정으로 볏과 식물 화기 조절
- 전문가 제언
-
○ 볏과 식물 화기(花器)는 발육과 진화 관점에서 흥미롭다. 볏과에서 꽃은 수상화(穗狀花, spikelets)라는 작은 가지에서 생긴다. 최근 수상화 분열조직(spikelet meristem, SM) 본성 조절인자 분리로, 수반되는 유전자 네트워크의 발육과 진화에 대한 새로운 장이 열렸다. SM 특정화 시기는 이들 조절인자의 조합기능으로 조절되어, 볏과 화기형태가 결정된다. 더구나 분열조직 세포, 분열조직 불확정성, 수상화 본성의 억제 간의 단단한 연관이 밝혀지고 있다.
○ 본 리뷰와 관련된 국내 저자 최근논문은, “밀 GAST(지베렐린-자극 전사) 유전자는 화지와 화기 발육 촉진으로 개화를 조절함, 김윤정,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13”, ”벼 TOPLESS 상동체 OsREL2는 벼꽃 측생분열조직 발육에 작용, 권예림 등, Plant Biotechnology Reports, 6(3), 2012“, “개화와 굴지성에서의 ID(Indeterminate) 도메인을 운반하는 벼 유전자의 조절역할, 박순주, 경상대 박사학위논문, 2009”, “비동시성 유전자(SUPERNUMERARY BRACT)는 수상화 분열조직에서 화기 분열조직으로의 전환을 조절, 이동연 등, Plant Journal, 49(1), 2007” 등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 ALOG 족 단백질의 분자기능 해명은, TAW1과 TMF가 유도하는 분열조직단계 변화 조절 이해에 중요할 것이다. CLV 경로에 의해 조절되는 분열조직 크기 항상성이 불확정 운명 유지와 관련되는지, 그리고 연기된 불확정 운명이 분열조직 활성 증강 결과인지, 그렇다면 이런 연관의 기초기전은 무엇인지가 밝혀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Junko Kyozuka, Hiroki Tokunaga and Akiko Yoshi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7()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0~115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