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토탄 늪의 자발적인 회수를 결정하는 환경요소

전문가 제언

생태학이란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환경은 생물의 주변을 구성하는 생물적, 비생물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생태학이 환경(environment)과 환경보호주위(environmetalism) 등의 용어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생태학은 둘 다 아니다. 생태학은 과학이고 행동주의적으로 규정된 목표가 없다.

생태학이란 낱말은 1866년 독일 생물학자 에른스트 헤켈(Ernst Haeckel)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1869년 헤켈은 예나 잡지에 기고한 논문에서 이 낱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생태학이라는 낱말을 우리는 자연계의 질서와 조직에 관한 전체 지식으로 이해한다. 즉 동물과 생물적인 그리고 비생물적인 외부세계외의 전반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이며, 한 걸음 더 나가서는 외부세계와 동물 그리고 식물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갖는 친화적 혹은 불화적 관계에 대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생태학의 뿌리는 자연사부터 시작된다. 인류의 조상은 사냥감을 어디서, 언제 구할 수 있는지 알아야 했고, 농업혁명 이후에는 가축이나 곡물을 어떻게 기를지 등 생태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였다.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는 Historia Animalium에서 들쥐와 메뚜기 떼에 대해 설명을 시도하였다. 유해 동물을 없애기 위한 방안을 생각하던 초기 그리스와 로마인의 생각에서 출발해서 수학과 자연사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생태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한국의 전통생태학”(사이언스 북스 펴냄, 이도원 엮음)은 우리 선조의 삶에 깊이 뿌리내린 생태학적 지혜를 찾아내 우리에게 새로운 삶의 길을 열어준다.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의 지원으로 2002년부터 진행한 전통생태모임”에서 발표한 논문을 엮었다. 전통생태학은 삶의 꼴, 살아가는 모습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서구에서 에콜로지(ecology)를 집(eco)의 학문(logos)으로 푸는 것과는 다르다. 서구인들은 불과 얼마 전까지 주민들의 복지향상을 꾀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개발에 초점을 맞춰왔다.

저자
P. Konvalinkova, K. Prac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69()
잡지명
Ecological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8~45
분석자
유*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