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균균주 특성화를 위한 MALDI-TOF MS

전문가 제언

병원성 세균은 물론 인간에게 유익한 세균(다양한 효소나 바이오필름 등 생산, 장내 세균총, 환경미생물 등)과 이들의 새로운 변종을 정확하게 동정하기 위한 세균균주 특성화는 이 분야에 대한 분자생물학과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의 응용기술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오늘날 미생물학자들이 추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세균동정 방법은 그람염색, 배양 및 생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원인균의 표현형 확인방법에 의지하였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첫째, 반드시 생체 외 배양이 되는 미생물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는 점과 둘째, 어떤 균주들은 모든 알려진 종이나 속의 특성으로서 사용되어온 패턴에 맞지 않는 특이한 생화학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지난 10여년 사이 분자생물학 기술이 세균 표현형의 검색과 특성에 대한 전통적인 표현형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몇 가지 비배양 기본법이 지난 15년 사이에 알려졌는데, 실시간 PCR과 미세배열법(Microarray)은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자기술이다.

 

MALDI-TOF MS는 각 미생물의 특징적 단백질 프로필에 근거하여 세균을 동정하는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추천되었다. 특히 임상샘플의 고분자 물질에 대해 시료의 분해 없이 직접 분석함으로써 현저하게 동정시간이 짧기 때문에 이 분석법이 유용될 수 있다. 최근 국내 의료기기 업체도 세계 5번째로 임상용 MALDI-TOF MS를 출시하였다고 보도되었다.

 

소변샘플의 경우 MALDI-TOF MS의 세균동정은 배양 없이도 우수한 결과를 얻지만 샘플 중 세균수(>105 CFU/ml)는 좋은 결과를 얻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 세균수가 부족한 샘플의 경우 배양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 세균수에 구애받지 않는 동정을 위해 이들 분자기술에 나노기술을 응용하는 새로운 미세 의료분석기기의 개발가능성 등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자
Marie frederique Lartigu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3
권(호)
13()
잡지명
Infection, Genetics and Evo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30~235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