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치사슬에 따른 지속 가능한 소규모 태양광발전(pico-PV) 보급

전문가 제언

현재 태양광산업은 초기단계를 지나 본격적인 상용화시기로 접어들고 있으며 비용절감과 응용영역 확대로 인해 향후 다양한 기술들이 출현할 것이다. 세계 태양광시장은 2013년부터 2030년까지 연 16% 이상 성장하여 1.5TW의 태양광발전이 신규로 설치될 전망이며 소규모 분산전원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2030년 2,300억 달러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며 대규모 태양광시장 591GW, 소규모 태양광시장은 950GW를 형성하여 소규모 태양광시장이 주 시장으로 부상할 것이다(New Energy Finance).

 

pico-PV(소규모 태양발전) 시스템은 1~10W의 출력을 갖는 소규모 PV(태양광발전 또는 태양전지)로서 정의되는데 주로 개발도상국가에서 조명용으로 사용되어 등유램프나 촛불과 같은 불건전하고 비효율적인 에너지원을 대체할 수 있다. 모델에 따라서 소규모 ICT(휴대폰 충전기, 라디오 등)에도 응용된다. pico-PV 시스템은 소형 솔라판에 의해 작동되고 램프 자체 내에 포함된 배터리를 사용한다. pico-PV 시스템의 장점은 쉬운 설치(plug and play), 사용하기 쉬운 응용, 낮은 투자비용, 적은 유지보수, 높은 확장성과 융통성 등을 들 수 있다.

 

신 재생에너지센터 통계에 의하면 2012년 기준 국내 태양광산업은 누적 설치용량이 1GW를 넘고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약 330MW가 추가로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태양광시장 규모는 약 9,000억 원 규모에 달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국내 태양광산업도 최근 다시 탄력을 받고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소규모 태양광시설도 지자체를 중심으로 적극 지원해 나가고 있다.

 

○ 국내 태양광산업도 국제추세에 맞춰서 대규모에서 소규모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태양광기업들의 태양광시장 진입을 위해선 단순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를 넘어 사업의 기획, 금융조달에서부터 운영까지의 전후방 가치사슬의 통합전략이 필요하다.

저자
Stephanie Hirmer,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30()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01~411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