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디젤(Bio-diesel)의 산화안정도에 관한 고찰

전문가 제언

세계의 바이오디젤 생산현황을 보면 프랑스에서는 폐유가 아닌 순수 식물성 기름만을 원료로 사용하는 단점이 있고 미국에서는 바이오디젤 물성을 개량할 수 있는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핀란드에서는 수소가스를 첨가한 바이오디젤(HBD)을 사용하고 일본(Nippon oil company: NOC)도 역시 HBD개발을 연구 중이다.

 

현재 유럽의 바이오디젤 생산량은 250만 톤 이상이며 이는 대부분 자국 내의 유체경작지를 통해 원재료를 공급받는다. 이 유체경작지는 해마다 증가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한 바이오디젤 생산국들은 자율적으로 친화적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고 국가의 농촌보조금으로 원료작물을 재배하므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원료를 자급자족하므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대체석유로 각광을 받고 있는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에 폐기물 및 동물 가축분뇨의 국내 량은 약 오천만여 톤에 달한다. 유니슨의 특허시설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간 약 1800G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국내 보급이 활성화된다면 년간 약 1조5천억이 넘는 시장규모로 예측된다.

 

국내의 바이오연료인 바이오가스 시설을 계획하고 있다. 울산시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계획 중이다. 우리는 스칸디나비안 바이오가스사와 음식물 폐기물 및 폐수슬러지를 사용하여 바이오연료 시설 건립을 위해 울산 현지법인을 설립, 총 1800만 달러를 투자해 내년 상반기를 준공 목표로 생산시설을 계획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국내연구진은 석유대체연료인 바이오디젤을 합성하여 이들의 연료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석유관리원 연구팀은 바이오디젤을 지방산메틸에스테르와 지방산을 사용해 제조한 후 세탄가, 점도, 윤활성 및 산화안정도 등의 물리화학적 연료특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금번 연구결과로 미래 도입될 바이오디젤에 관한 연료특성을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초가 되었다. 따라서 미래 바이오디젤 산화안정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Zahira Yaakob ,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5()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6~153
분석자
정*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