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말조개 양식과 저수지 수질 개선

전문가 제언

말조개는 천연의 담수 홍합(unionid mussel)과 자연수 파이프에 대한 대단한 부착생물이므로, 말조개가 서식하는 수역의 물리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인의 농도를 감소시켜 독성 남조류의 대발생을 일으키기고, 영양분의 순환작용을 변화시키고, 수서생물종의 개체군 구조를 변화시키어, 공간적인 쾌적성(amenity value)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말조개의 벨리저 유생(veliger larvae)이 크게 번식하는 수역에서는 이의 무성아(propagule)도 증식하여, 여타 지역으로 유입해 가는 위험(risk)도 존재한다. 그리하여 댐이나 자연호 등의 저수지의 물이 흘러드는 하류 역은 양식업이 부적절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북미 지역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과 일본 등의 동아시아에는 아직도 말조개가 서식하지 않는다. 그러나 줄무늬물고기(zebra fish)는 은회색 바탕에 얼룩말을 닮은 가로 줄무늬가 선명한 어류로서, 알부터 배아와 치어 단계까지 온몸이 투명하고 아름다워 관상어나 유전연구, 환경독성평가에까지 실험실 규모에서 양식하여 보급한다. 나아가 자연환경으로 유입되어, 외래어종으로서 우리나라의 수역에 편익이나 위험성을 초래하여 외래어종 침입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줄무늬물고기는 당뇨, 암, 뇌신경 등의 신약연구와 실험용에서 이미 실험실 쥐의 자리를 대체해간다.

 

말조개는 수질처리 능력이 가장 큰 패류이므로, 돌무더기나 돌바닥 및 바위언덕이 내수면의 수중에 많이 존재하는 우리나라에 도입해 수처리 능력을 검증해 필요가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내수면 저수지와 하천에는 홍합류가 별로 서식하지 아니하므로, 토종 패류의 서식지나 생존 잔류성을 파괴할 염려도 거의 없다. 유럽에서는 패류를 먹거나 사료용으로 이용하지 아니하므로, 대량양식에 문제가 크지만, 우리는 말조개를 식료용과 사료용으로 개발하면, 말조개 양식의 경제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외래종으로 토종 패류 위험과 편익을 연구해, 말조개의 환경과 경제성을 모색해야 한다.

저자
C. McLaughlan, D.C. Aldridg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3
권(호)
47()
잡지명
Water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357~4369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