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을 향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업계는 배터리로 구동하는 전기자동차(EV)와 하이브리드(HEV) 자동차 개발에 집중해왔으나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고자 연료전지 자동차(FC)에 관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수소연료 전지자동차의 상용화가 대표적이다. 이에 상용화의 장애물인 고비용, 안전성 우려, 수소 충전소 부족 등을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 자동차 메이커들은 1960년대부터 수소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 개발에 투자해 왔다. 미국 California주 당국에 따르면 현재 주내에 9개소의 수소 충전소가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2013년부터 현대자동차는 Tucson SUV승용차를 남부 California주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California주 의회는 최근 2023년까지 100개 수소 충전소를 추가 설치하기 위해 매년 약 2억 달러 예산을 배정했다. 수소 충전소가 구축되는 대로 다른 주로 확대할 계획이다.
○ General Motor사는 이미 2000년대 중반 수소연료 전지자동차인 시보레 에퀴녹스의 전시 및 시승행사를 가졌고, Honda자동차도 2005년 수소연료 전지자동차 FCX Clarity 20여 대를 월 600달러에 대여해주기 시작했다. 2003년 조지워싱턴 전 부시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수소연료 전지자동차 개발에 12억 달러의 예산을 배정하고 2003년에 태어나는 아이가 미래에 몰게 될 차는 무공해 수소연료 전지자동차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Barack Obama 정부가 출범하면서 배터리 구동자동차에 집중함으로써 수소연료 전지자동차 개발정책은 대부분 폐기됐다.
○ 현대자동차사는 2013년 2월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전지차 양산체제를 구축하고 2015년에는 75대의 수소연료 전지자동차를 유럽에 수출할 예정이다. Honda자동차와 Toyota자동차도 2015년 시판 예정인 자체 연료전지 Concept Car를 내놓을 계획이다. 이와 같이 수소연료 전지자동차 개발 경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의 자동차 업계가 비교우위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수소의 제조기술, 저장기술, 전지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HIROSE Katsuhik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84(5)
- 잡지명
- 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18~422
- 분석자
- 김*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