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사선이 SiC의 절연열화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핵융합로 개발에서는 고조사량에서 일어나는 조사손상(radiation damage)에 관련된 자료도 중요하지만, 저조사량에서 일어나는 방사선효과(radiation effect)에 대한 자료도 중요하다. 특히 조사손상을 무시할 수 있는 작은 조사량에서도 조사 중에 일어나는 전자여기 현상으로 자유전자 밀도가 증가하여 절연재료의 절연열화(degradation)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탄화실리콘(SiC)은 고온에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조사손상이 작게 일어나는 특성 등으로 핵융합로 환경과 양립성이 좋다. 그러므로 핵융합로에서 블랭킷(blanket) 개념으로 액체 블랭킷 개념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유망한 후보재료의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 이 외에도 뛰어난 열적 특성을 갖고 있어서 핵융합로의 고온 절연재로도 거론되고 있는데, 절연열화 특성은 핵융합로 설계에서 대단히 중요하므로 SiC에 대한 전자여기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수행되고 있다.

 

핵융합 발전의 실현을 위해 ITER 후속사업으로 DEMO로 건설이 추되고 있으며 DEMO로의 블랭킷을 개발하기 위해 ITER에 TBM(Test Blanket Module)이 설치되는데, 우리나라와 러시아는 ITER-TBM으로 액체 블랭킷인 HCML(He-Cooled Molten Lithium)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므로 절연재료의 방사선 조사(irradiation)에 따른 절연열화 특성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로 격납용기에 설치된 안전방호계통 등에 사용되고 있는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케이블에 Co-60 감마선에 조사시켜 열화현상을 부분적으로 연구한 예가 있지만, 중성자를 조사시킨 후 또는 중성자 조사 중에 일어나는 조사유도 절연열화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도 수행한 예가 없는데, 이 분야는 원자로 노심의 계측에서 아주 중요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반드시 수행해야 할 연구분야라고 생각된다.

저자
TSUCHIYA Bu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90(1)
잡지명
プラズマ核融合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7~51
분석자
이*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