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신의 미세화 기술과 식품에의 응용

전문가 제언

식품의 미세화는 물에 불용인 천연셀룰로오스를 물속에서 나노수준에서 분자수준에 이를 때가지 신속히 미세화 나노 분산시켜 수용액을 만드는 방법이다. 물에 현탁한 천연식재들을 서로 마주보는 2챔버에 동시에 분리하여 양측에서 한 지점을 향하여 분사 충돌시키는 기술로서, 입자표면을 활성화시켜 캐리어인 물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용해에 가까운 상태로 하여 식품의 식감과 기능성에 영향을 준다.

 

나노파이버는 직경이 1~100nm 길이가 직경의 100배 이상의 파이버물질이다. 나노파이버는 내부 혹은 외부 표면에 나노기술로 정밀한 구조체를 형성시켜 신규기능을 발현시키는 기술이다. 셀룰로오스를 나노레벨 처리로 나노파이버하면 비표면적의 증대와 보수성, 점증성이 증대되며, 3차원 네트워크 형성으로 전단속도의 증가와 점도저하로 소성유동체의 장점으로 식품의 식감과 촉감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셀룰로오스, 키틴, 등의 바이오매스 자원은 나노 구조체의 집합구조이다. 즉 셀룰로오스가 중합도 저하와 분자구조의 파괴도 없이 습식 미세 분쇄되어 분자수준의 상태로 물속에 분산되어 투명한 나노 셀룰로오스 분산액을 얻게 된다. 이러한 처리의 저칼로리 기능성 식품을 가진 특성을 이용하여 생활 습관병 식품소재의 기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의 임 등은 2010년(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의 “증숙 및 습식분쇄조건에 다른 인삼의 품질 특성”에서 습식분쇄가 건식분쇄보다 입자 미립화 시간이 짧고 분쇄입자 조절이 용이하여 유효성분 강화에 효과적임을 발표한바 있다. 전 등은 2011년(식품기술)의 ”나노기술을 적용한 식품의 독성 및 위해성 평가현황(Ⅱ)“에서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소재의 나노물질 위해성을 평가한바 있으나 나노파이버에 대한 제품위해성에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워터제트 미세화장치기술은 촉매나 약품, 유기용매를 사용치 않고 물만을 이용해 낮은 환경부하의 바이오매스 유효활용을 위한 기반기술을 목적으로 하며, 오염이 매우 적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연속처리가 가능하여 식품분야 최선단의 재료개발에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Kota Og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34(1)
잡지명
食品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3~48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