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자력발전소의 내진성능

전문가 제언

 

일본의 원자력발전소는 전여 특성이 다른 대지진, 2007년 Nikata Juetsuoki지진과 2011년 Tohoku지방 태평양연안 지진에도 견디고, 그 안전관련 시설뿐만이 아니라, 발전소 전체의 지진의 흔들림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기서는 이들 경험에 기초한 지식을 개관하고, 지진발생 후의 전력안전공급을 위한 시책을 제안하고 있다.

 

2개의 대지진을 경험함으로써, 지진동의 특성과 손상과의 관계, 그리고 내진여유의 크기가 명확해졌다. 이들 지식을, 예로, 지진 시 리스크평가의 기본인 스크린 하는 것, 또 원자로 자동정지신호의 적정화, 지진영향을 신속히 평가하기 위한 지진동 계측과 소성에너지 흡수계수를 이용한 내진 여유평가 등에 이용하는 하드웨어 기술로 뒷받침된 소프트웨어기술의 심화가 예상되는 대지진에 대비한 원자력발전소에 있어서 중요하다.

 

대지진발생 시에 전력공급이 대단히 중요하고, 피재지에서는 전력의 복구를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다. 대지진의 경험을 근거로, 원자로의 자동 긴급정지 설정치를 본래 목적에 따르는 것으로 하는 것 등의 대책을 실시하여, 지진 후의 전력공급에 원자력발전소의 우수한 내진성능을 활용할 것이 기대된다.

 

한국의 경우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지진의 발생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며 국내 원전의 확률론적 지진취약도 평가결과 등을 고려할 때, 상당한 크기의 초과지진에 대해서 원전의 안전기능이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기의 내진성능 향상, 지진 시 발전소 비상대응능력 제고 및 화재대응 개선 등을 위한 개선방안이 도출되었다. 원전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지진 PSA(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확률론적 안전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내진성능 향상, 방사성폐기물 임시저장고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내진성능 평가 등이 제시되었다.

저자
Ochiai,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56(2)
잡지명
日本原子力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0~74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