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철강재의 산업연관분석

전문가 제언

산업연관분석이란 일정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생산품이나 서비스의 산업간 거래관계를 기록한 통계표를 바탕으로 산업 간의 상호 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하는 경제분석 수법이다. 분석결과에서 얻는 산업연관표의 세로 방향은 각 산업부문에서 생산에 투입된 비용목록을, 가로 방향은 생산물이 사용된 수요목록을 나타냄으로써 최종수요가 유발하는 파급효과를 산업별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경제정책의 수립과 정책효과의 검토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 LCA(Life-Cycle Assessment) 데이터베이스가 보급됨에 따라 이와 같은 산업연관분석이 소재산업에도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원문에서는 고로에서 제조된 선철과 제품수명이 끝나 폐기되는 철스크랩이 각종 가공단계와 중간제품을 거쳐 자동차로 제조되기까지의 재료(철강재) 흐름을 분석하고 있다. 철스크랩의 리사이클링을 고려한 폐기물 연관분석의 분석도구로는 WIO-MFA(Waste Input-Output Material Flow Analysis) 모델을 이용하고 있다.

WIO-MFA모델은 각 산업부문에서 입/출력되는 통계데이터와 물질정보를 조합한 top-down형 모델로, 생산제품에 투입된 재료의 흐름정보와 재료의 최종 용도를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자동차, 가전제품 등 수요산업에 사용된 철강재 중에 스크랩에서 유래하는 철분량과 스크랩의 재활용률을 계산할 수 있다. 원문의 분석결과에서 자동차 생산에 이용되는 스크랩 중에서 노폐스크랩의 비율은 10%로 낮다. 노폐스크랩이 주로 전기로제강의 원료가 되는 점을 고려하면 고급강을 요하는 자동차에는 주로 양질의 전로(BOF)강이 이용됨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도 경제부처와 금융기관에서 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정책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최근 창조경제와 관련한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창조산업의 경제파급효과를 추정하는 조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소재산업제품과 관련한 산업연관분석은 보고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WIO-MFA모델에 의한 재료흐름의 분석은 재료산업의 환경영향평가, 금속자원의 재활용 등에도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으므로 이 분야의 연구활성화가 요망된다.

저자
Shinichiro Naka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3
권(호)
18(7)
잡지명
ふえらむ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98~402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