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사회와 정보통신기술
- 전문가 제언
-
국가 등이 실현을 목표로 하는 스마트 커뮤니티(Smart community)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에 의하여 쾌적성을 계속 확보하고, 재생가능 에너지를 활용하여 쌍방향 형태 게다가 재해에 강한 에너지시스템의 구축을 지향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에너지시스템에 한정하지 않고 상하수도, 교통/운수, 의료, 정보통신 등의, 사회생활을 지탱하기 위해서 정비된 공통적인 장치, 즉 사회기반(인프라스트럭처 혹은 인프라)의 통합적인 관리나 최적 제어를 목표로 넓은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시민생활이나 사회경제활동은 사회 인프라를 기본으로 성립되어 있지만, 스마트 지역사회에 있어서는 모든 사회 인프라가 ICT시스템에 의하여 각각 효율적 게다가 최적으로 운영 관리되는 것과 동시에 이들이 서로 연대하고, 개인으로부터 사회전반에 이르기까지 최적성이 확보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사회 시스템에 있어서 ICT시스템의 기본적 기능이나 현상을 설명하는 것과 동시에 스마트 지역사회에서 ICT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전망한다.
ICT시스템은 사회 시스템의 신경계통을 이루며, 인간사회를 연결하는 H2H (Human to Human) 기능, 인간사회와 사회 시스템의 구성설비를 연결하는 H2M(Human to Machine) 기능, 더욱 사회 시스템의 구성설비 간을 연결하는 M2M(Machine to Machine) 기능이 있다. 예를 들면, 에너지 인프라에 있어서 ICT시스템은 에너지의 발생이나 변환, 유통, 이용에 관한 기기나 설비(1차 구성요소로 불리는 것으로서, 전력 인프라에서는 발전기나 변압기, 송전선, 전동기 등)에 대해서, 신호 접수나 변환, 정보의 입출력, 전달, 처리 등을 담당한다.
- 저자
- Yoshizumi Serizaw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3
- 권(호)
- 133(12)
- 잡지명
- 電氣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96~799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