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압축기의 운용개선을 통한 에너지절약
- 전문가 제언
-
○ 공기압추기는 1차 산업에서 3차 산업에 걸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제조업에선 전체전력 중 차지하는 소비전력량이 커서 소비전력절감을 위해 이때까지 많은 노력을 해왔다. 이 문헌은 공기압축기의 고 효율화를 통한 에너지절감에 관한 기술적인 개선방안을 소개한 내용이다.
○ 에너지절감을 위한 기술적인 방안으로 제조자 측에서의 개선과정은 압축기 전체의 전 부하성능향상을 중심으로 한 시대를 거쳐서 현재는 실제가동조건에서의 에너지절약추진을 위한 부분부하 성능향상에 주력하여 인버터의 회전수 제어가 보급되는 식으로 발전되어왔다. 동시에 사용자측에서도 전력감축을 위해 대수제어와 압축공기라인의 저압화 및 압력손실저감 등 에너지절약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 그러나 앞으로도 공기압축기의 소비전력삭감을 위한 기술개발이 지속되긴 하겠지만 그의 개선효과는 이미 포화상태에 와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투입하는 전력을 저감하는 방향과 함께 현재 대기 중으로 폐기되고 있는 투입전력에너지 그 자체를 여하히 열에너지로 회수하고 이 열에너지를 화석연료 소비량 삭감이나 전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가가 관심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일본은 공기압축기를 생산한지 100년이 되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까운 장래엔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에 의한 변동전력의 축전과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축전지 기능으로 공기압축기를 활용하는 가능성도 내다보고 있다.
○ 우리나라는 아직 선진국 수준에 비해서 설계와 제작이 뒤쳐져 있지만 일부 단품이나 냉매용 압축기의 생산에 있어서는 상당한 수준으로 해외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그 생산대수는 일반 산업용 공기압축기보다도 가전제품용 냉매압축기가 3천만대 이상으로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1995년엔 1,276만대를 생산해서 570만대를 수출했고 2002년엔 3,040만대를 생산해서 1,136만대를 수출한 바 있다. 따라서 앞으론 우리나라도 산업용 공기압축기의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주력해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M MATSUGU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66(3)
- 잡지명
- 省エネルギ―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0~34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