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 교통소음 모델의 평가전략

전문가 제언

세계의 선진국에서 개발해 이용하는 주요한 교통소음 모델을 분석하고 해석해 보았다. 이러한 교통소음의 소음원은 교통소음 모델에 따라 각양각색으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소음 전달/전파 모델링에 대한 통일성 있고 조화성 있는 접근법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통소음 예측의 정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기상학적 인자를 특정화하는 소음파동 방정식의 해를 수치적으로 구하는 접근법을 이용하게 되면, 고성능 컴퓨터에 의한 다양한 계산적 복합성을 심어주는 결과를 가져오고, 컴퓨터 운용의 첨단기술을 도입토록 하는 과제를 남겨놓고 있다. 이는 도시계획 기술자와 도시계획 입안자?추진자에게는 애당초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처하고 환경소음의 전략적 지도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유럽연합(EU) 환경소음 디렉티브인 2002/49/EC에 맞추어 개발한 교통소음 모델이 CNOSSOS-EU 모델이다.

 

우리나라의 환경소음은 항공기 소음, 공장 소음, 건설장비 소음, 도로교통 소음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 중의 소음환경영향평가에서는 도로교통 소음의 평가 및 예측 모델로서 환경연구 1식, 환경연구 2식, 일본 음향학회식을 이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환경연구 1식에서는 소형차 소음과 대형차 소음으로 구분하고 있고, 환경연구 2식에서는 시간당 등가교통량으로 대형차 교통량에 10을 곱하여 소형차 통행량에 더하여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교통소음 모델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제시하고 있지만,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교통소음 모델은 우리나라의 도로교통의 실태를 적정하게 고려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도로교통에서는 기준속도 이상의 과속운행이 위주이지만, 과속의 범위나 지속시간 및 주야간 차이성 등이 제대로 측정되고 분석되어 있지 않은 탓이다. 이러한 과속운행의 범위와 지속시간 등을 고려하는 도로교통 모델을 새로이 개발하게 되면, 국제적인 인정과 동시에 과속 위주로 운행하는 이탈리아나 중?후진국 등에도 교통소음모델 기술을 수출하는 계기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Naveen Garg, Sagar Ma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46()
잡지명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8~81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