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성 카로티노이드의 기능성

전문가 제언

카로티노이드는 지용성색소로 동물, 식물, 미생물 등 자연계에 750종 이상이 다종다양하게 폭넓게 존재하고 있으며 식물에서는 클로로플라스트와 크로모플라스트에서 생합성되어 저장기관과 광합성 조직에 색을 부여한다. 식물과 광합성 세균이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연간 1억 톤 이상을 생산하고 있으며 해양생물은 특징적인 카로티노이드를 함유하고 있고 해조류에 함유되어 있는 푸코크산틴과 시포나크산틴은 특징적인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푸코크산틴은 분자 내에 2중 결합을 연속으로 알렌구조, 에폭시, 케톤을 가지고 엽상체에서 주로 광합성의 보조 색소의 기능을 갖고 있다. 주요기능은 백색지방조직에 있는 탈공역단백질1의 발현항진을 통한 지방분해와 열생산 항진, 푸코크산틴과 탈아세틸화물인 푸코크산티놀이 혈관신생의 억제효과, 피부 광노화로 야기된 표피층의 비후억제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시포나크산틴은 녹조에 함유되고 C19 위치에 수산기를 갖는 화학구조로 청각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아포토시스를 유도하여 부작용이 없는 암 치료에 주목되는 사이토카인이다. 또한 푸코크산틴보다 지방세포 분화억제작용이 강하다. 홍조의 색소단백질인 피코에리트린은 비만세포의 탈 과립의 억제작용이 특징적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의 하 등은 2012(원예과학기술지)의 “회색변경을 위한 카로티노이드 대사공학”에서 식물체내의 카로티노이드의 생합성경로를 발표한바 있고, 황 등은 2011(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의 “배추의 조리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카로티노이드와 토코페롤 함량변화”에서 영양성분인 조리방법에 따른 카로티노이드의 함량변화를 발표한바 있으나 앞으로 해조류의 카로티노이드 기능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천연기능 성분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며 해양성 카로티노이드가 실험실증을 통해 항산화성과 암세포 억제물질로 건강장수를 지원하는 고기능성을 내는 성분으로 향후 다양한 분야에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Tatsuya Sugawa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3
권(호)
33(4)
잡지명
食品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1~159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