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남아시아 대기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오래전부터 대기오염 문제는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특히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대기오염 문제는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곳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본 문부과학성의 신학술 영역연구에서는 대기중의 부유물질(PM)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중에서도 「동아시아?동남아시아의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 영향 평가(Impacts of Aerosols on Human Health in East and Southeast Asia)」를 Tsukuba 대학의 Honda 등이 연구 발표하였고 특히 사망과의 관련을 평가하는 역학연구도 하였다.

 

대기중의 부유물질이 사람 신체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단기적으로는 새로운 해석 수법의 개발도 있어 직선적인 PM의 농도와 사망률의 관련을 보면, 건강에 악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통일적인 수법으로 여러 나라에 대해서 해석한 사례는 아직 적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데이터 자료의 축적이 요망된다. 황사에 대해서는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대기 현상을 측정하는 라이다(lidar)장치에 의해 계측한 결과를 역학적인 노출 지표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에어로졸 및 대기오염에 대한 추적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해마다 중국으로부터 날라 오는 미세먼지와 황사 때문에 곤욕을 치루고 있다. 특히 올해(2014년) 봄에는 유난히 심하였다. 미세먼지는 대기오염이 심한 중국의 공기가 화석연료를 사용한 난방이 급증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뿌연 회색먼지이다. 황사는 미세먼지보다 입자가 큰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황사 자체는 알카리성이기 때문에 황사가 지나간 자리에는 토양의 산성화가 어느 정도 예방되는 효과라도 있지만, 미세먼지는 중국이 난방기구를 가동하는 이상 지속적으로 늘어날 소지가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으로 국민 건강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특히 입자가 미세하여 건강에 영향을 심하게 주는 PM2.5에 대한 관리대책의 조기 수립이 긴박하게 요구된다. 미세먼지 중 상당부분(30~50%)은 중국 등 외국에서 유입되는 바, 민?관의 다양한 채널을 통한 국가 간 협력강화 추진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저자
Yasushi Honda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9(1)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3~189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