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출강화형 동합금의 집합조직 제어기술 개발 이야기
- 전문가 제언
-
최근 전기·전자 부품용 커넥터는 스페이스 절약, 고밀도로 실장하기 때문에 소형화와 형상이 복잡해지고 있다. 이 커넥터용 재료는 높은 전기 전도성이 있고, 강도가 우수한 동합금이 사용되고 있으나 커넥터의 소형화에 알맞은 재료는 아주 얇은 박판이면서 높은 강도와 한정된 공간에 수납하기에 우수한 굽힘 가공성을 겸비하기를 요구한다.
동합금의 강화 수단은 고용강화, 석출강화, 가공강화 및 결정립 미세화 등이 이용되며, 이들을 조합하여 강도는 높일 수 있으나 강도 증가에 수반하여 굽힘 가공성은 저하한다. 차재용 커넥터나 스마트폰 등의 민생용 커넥터에 대하여 소형화로 협소하게 구성하는데, 차세대 커넥터용 재료로서 높은 강도와 우수한 굽힘 가공성을 겸비한 동합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금속재료의 강화기구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굽힘 가공성에 관한 계통적 연구는 의외로 적다. 또 굽힘 가공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합금성분, 결정입경, 결정방위분포(집합조직), 전위밀도, 석출물(크기, 양, 분포), 무석출물대(PFZ) 등, 많이 거론되고 있으나 각각의 영향도가 명확하지 않음으로 굽힘 가공성을 개선하는데 주목해야 할 인자를 결정하기 곤란하였다
- 저자
- W.Gao, A.Sugawara, T.Kimur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53(5)
- 잡지명
- まてりあ(日本金屬學會會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22~223
- 분석자
- 황*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