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형광체와 인광체가 하이브리드된 백색 유기발광 다이오드

전문가 제언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주목받는 유기 EL은 현재는 스마트 폰용 디스플레이로 채용되어 고화질의 디스플레이로서 넓게 인식되고 있으며, TV용의 대형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도 액정 TV를 대신하는 기술로서 기대되고 있다. 유기 EL은 유기 반도체 재료를 이용한 LED이며 OLED라고도 불린다.

 

유기 EL은 비정형 유기박막을 사용한 LED 소자이므로 자발광 디바이스이며, ‘고휘도’, ‘고콘트라스트’, ‘박막’, ‘면 발광’, ‘광 시야각’, ‘고속 응답’, ‘넓은 색 범위’ 또한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 상에 저온 프로세스로 대면적 디바이스 제조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으로 유기 EL은 이상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간주되어 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 TV로 실용화를 위한 개발이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백색 OLED는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고 유기막을 기판 전면에 증기 증착한 것으로 발광층은 백색은 RGB 3색 혹은 Y(황색)+B의 2색 텐덤(tandem)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최근 형광체와 인광체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WOLED가 단일항 및 삼중항 엑시톤을 수집하여 이론적으로 내부 양자수율을 100%까지 달성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고는 하이브리드 WOLED 용의 재료와 디바이스 개발과 관련된 발표된 최근의 연구 결과를 검토한 것이다.

 

LG 디스플레이가 올해 하반기부터 OLED 신규로 생산 라인 증설 가동을 시작하고 초고화질(UHD) 액정디스플레이(LCD) TV에 주력하던 삼성디스플레이도 조만간 OLED 신규투자에 나설 것으로 보여 차세대 OLED 디스플레이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기술적인 연구가 더욱 왕성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하이브리드 WOLED는 여러 장점이 있으므로 값싼 재료, 단순하고 효율적인 디바이스 및 경제적인 제조 기술 개발을 통해 디스플레이용으로 실용화할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저자
Jiangshan Chen, Fangchao Zhao, Dongge 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17(4)
잡지명
Materials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75~183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