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과 미생물의 상호작용에 있는 기계적 신호

전문가 제언

이 논문은 기계적 자극에 대한 식물의 반응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특히 식물과 미생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어떻게 미생물이 식물에 기계적 자극을 가하고 어떻게 일부 식물의 병원균에 대한 반응과 공생미생물이 기계적 자극(예 ; 미세바늘)에 대한 반응과 현저한 유사점을 나타내는지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그리고 병원성이나 공생미생물에 대한 식물의 적절한 반응은 이들 미생물에 의해 발휘되는 화학적 그리고 기계적 자극 모두의 엄밀한 통합적 결과를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식물의 MS 반응에 대해서 현상자체에 대한 분석은 일부 있으나 MS 반응의 전달경로와 기작 등 생화학적 또는 생리적인 면에 대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결과 그리고 유전적 근거나 접근도 없지만 유전체 및 대사체 분석의 발달로 앞으로 국내에서도 분석이 기대되고 있다.

MS는 유전자 발현에서 칼모듈린(calmodulin)과 칼모듈린 유사 단백질을 코딩하는 a classic set의 접촉에 의해 유도되는(touch-inducible) 유전자의 upregulation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변화를 촉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미로운 것은 식물과 미생물 공생에서 영향을 받는 일부 돌연변이체는 MS에 대한 반응에 결함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MS는 공생신호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관찰은 MS 감지와 반응을 담당하는 시스템과 반응간의 관계에 대해서 그리고 식물과 미생물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것이 양쪽 시스템에서 비슷한 반응요소들의 출현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지 단지 우연인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박테리아 군체에 의해 발휘되는 기계적 자극을 계량화한 것은 없지만 자라는 박테리아와 미세군체(microcolonies)가 상당한 팽창력을 발생시킨다는 증거가 있다. 이들은 특히 맥관구조(vasculature), 감염사 또는 단지 식물 apoplast 같은 상대적으로 폐쇄된 구조에 둘러싸여 있을 때 기계적 자극을 발휘할 수 있다는 가설이 믿을만하다.

저자
Dhileepkumar Jayarama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0()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4~109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