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 빌딩의 에너지 및 쾌적성을 위한 최적제어시스템 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국내의 경우 국가 총 에너지 사용량의 21%(에너지관리공단)를 차지하고, 이 비율은 국가가 선진화 될수록 증가하는데 선진국에서는 그 비율이 4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면 국내 전력난 해소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화석연료 고갈에 따른 원유소비량 및 CO2 배출량도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가 주목을 받고 있다.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의하면 BEMS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건물관리자가 합리적으로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업무환경을 효율적으로 유지, 보전하기 위한 제어, 관리, 경영 시스템”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BEMS를 정의하면 “건물의 에너지 사용현황과 설비운전 이력을 분석하여, 설비(열원설비) 및 건물 에너지관련 작동 기기에 대해 최적 운전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경영 전략을 수립하여 에너지 절감을 구현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김용희 등, “국내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특징 및 시장 동향”, 한국 BIM 학회, 2013).

 

BEMS는 일반적으로 기존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에 전기, 용수, 가스 및 기타 에너지사용량 데이터 및 기기의 운전데이터 수집을 위한 추가적인 유량계, 열량계, 습도계 등 센서를 설치하고, BEMS 운영프로그램을 탑재한 서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국내 BEMS 기술은 국가연구개발 사업으로 추진 완료된 ETRI의 ‘고효율 건물에너지 감응형 EMM(Energy Monitoring & Management) 플랫폼 기술 개발“과 ㈜KT가 2012년 5월 구축된 K-MEG(Korea Micro Energy Grid) ToC(Total Operation Center)는 2012년 서울 G-벨리를 시작으로 서울 코엑스, 서울대학교, 세종시 첫 마을을 대상으로 구축 되었고 앞으로 추가 대상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러나 BEMS 기술은 아직 초기단계로 앞으로 국제 경쟁력확보를 위해서는 표준화 및 요소기술 확보가 급선무라고 본다.

저자
Pervez Hameed Shaikh,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3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09~429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