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탈리아 베니스지역 제3기~제4기 지층의 복수 기원 퇴적시퀀스

전문가 제언

베니스지역의 플라이오-플라이스토세 지층은 북부 Apennine, 남부 Alps, Dinarides 등 3개의 산맥 사이에 위치한 전지(foreland)분지에 집적된 퇴적층이다. 이들은 남부 Alps에서 유래된 퇴적물을 북쪽으로, 북부 Apennine에서는 남쪽으로 공급되었기 때문에, 그리고 특히 전기 플라이스토세에 Apennine 전지분지가 북동쪽으로 이동된 것과 관련되어 강한 침강이 일어났으므로 복잡한 층서구조발달을 보인다.

 

따라서 연구지역 내의 퇴적층은 대부분 조구조운동에 의해 제어된 5개의 3차원 시퀀스로 구성되었으며,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전진 구축되는 퇴적체가 교접되어 매우 복잡한 패턴을 나타낸다. 연구지역의 중요한 층서구조를 해석하고, 상대 해수면 역사를 재건하여 순차층서연구기법을 적용한 해석을 실시하였다. 더욱이 해석된 분지 집적층에 대한 층서구조는 다공성의 조립질 퇴적층의 분포를 예측할 수 있어서 탄화수소의 저류층, 근원암, 덮개암에 대한 탐사 및 생산에 큰 도움을 준다.

 

순차층서 해석기법은 분지해석뿐 아나라, 탄화수소의 저류층, 근원암, 덮개암을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법이다. 초기에는 해양기원 퇴적층의 해석에 순차층서기법을 적용하였으나, 현재는 육성기원 퇴적층에도 해석범위를 넓혀 적용하고 있어서 육성 및 해저지층에 대한 탄화수소를 탐사하고, 생산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탄성파 퇴적학은 시추공 검층자료, 코어자료, 탄성파 상 자료 종합분석에 근거해서 퇴적상 구조분석을 하는 새로운 개념의 학문분야이며, 순차층서분석은 노두, 검층 및 코어연구에 유효한 방법이다. 특히 한국의 해양분지는 석유탐사를 목적으로 상당량의 탄성파탐사를 주로 한 지구물리탐사가 수행되었으나, 시추공은 천연가스가 생산되는 울릉분지에는 다수 존재하나, 다른 해양분지에는 시추실적이 많지 않다. 순차층서학과 탄성파 퇴적학을 이용한 상 구조 분석은 우리나라의 해양 석유탐사를 위한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판단되어 적극 이용이 요구된다.

저자
Massimo Zecchi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56()
잡지명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5
분석자
박*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