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메발로네이트 경로의 새로운 제초성 억제제 탐색
- 전문가 제언
-
○ Isoprenoid는 이소프렌[CH2=C(CH3)CH=CH2]이 중합한 탄소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총칭으로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Isoprenoid 바이오합성의 비 mevalonate 경로는 Isopentenyl Pyrophosphate(IPP)와 Dime- thylallyl Pyrophosphate(DMAPP) 형성을 주도하는 대체 대사경로로 제초제 개발에서는 이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 식물기원 효소를 이용하여 비 mevalonate 경로의 1차 5단계를 고속대량스크린(HTS: High-Throughput Screening)으로 검사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적중률은 낮지만 이들 효소의 활성부위와 기질의 전하상태 및 높은 극성에 기여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 IspF(2-methylerythritol 2,4-cyclodiphosphate 합성효소)를 제외하고 모든 효소에서 100μM 이하의 활성을 갖는 억제제가 동정되어 구조 활성관계(SAR: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가 수행되었다.
○ 특히 IspD 효소(2C-methyl-D-erythritol 4-phosphate cytidyl transfer- ase)의 경우 이 효소억제제는 IC50이 35nM 이하로 동정되었고 제초활성도 보여 새로운 작용모드를 갖는 새로운 제초제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 국내에서도 제초제를 비롯하여 각종 농약을 합성하려는 노력이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국제적으로 크게 주목받을 만한 제품이 출시되지 못하고 외국의 원제에 의존하고 있으며, 다국적 기업이 국내 농약시장을 거의 점유하고 있어 농약개발에 대한 경쟁력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 저자
- M. Witschel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3
- 권(호)
- 69()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59~563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