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면역신호 살리실산의 인식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식물에서 면역기능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살리실산이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떻게 식물에서 병저항성을 비롯한 생물적 스트레스 그리고 다양한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느냐에 대해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도 제시하고 있다.
○ 살리실산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는 국내에서도 그 의약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식물면역에 관해 알려지면서 병원균의 침입 시 방어작용 그리고 신호전달 경로 및 기작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다. 유전체학의 발전으로 관련 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단순한 페놀화합물인 살리실산의 다양한 기능은 식물이 복수의 살리실산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몇 가지 살리실산 결합단백질이 생화학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러나 그들이 정말 살리실산 수용체라는 것을 뒷받침하는 유전적 증거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 NPR1의 상동체인 NPR3와 NPR4는 살리실산에 결합하고 살리실산 수용체로서 기능한다. NPR1은 세포생존과 살리실산에 의해 매개되는 저항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웃 세포에 축적된다.
○ 담배식물을 이용한 전통적인 생화학적 연구의 대안으로 Klessing 그룹은 최근에 광-친화 labeling과 표면 플라즈몬(plasmon) 공명에 기초한 기술을 조합하여 아기장대에서 또 다른 SABPs를 분리하였다. 이들은 SABPs와 낮은 친화력과 일시적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다.
○ 벼는 아기장대보다 100배 이상 높은 수준의 SA를 가지고 있다. 벼에서는 SA가 방어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신호라기보다 SA가 병원균 감염 시 산화피해로부터 벼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기능은 다르지만 벼는 아기장대 상동체인 NPR1, NPR3 그리고 NPR4를 모두 가지고 있어 이들 기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Shunping Yan and Xinnian Do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20()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4~68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