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과 임상에서 IL-6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IL-6R 계는 상피 난소암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IL-6R, ILIFR과 G-CSFR는 약물 저항성을 포함한 증식, 이동/전이, 생존을 증가한다. EOC에 대한 면역 세포 반응을 조절하는데, IL-12, IL-23은 양성적이고, IL-6은 음성적이다. 또한 IL-6은 상피세포의 혈관형성이나 투과성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STAT3의 하류 신호는 이런 영향을 중재하는 중심 역할을 한다.
○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G-CSF와 같은 면역에 관련된 시토카인은 치료 전에 그것의 수용체로서 량을 검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L-12와 IL-23 같은 시토카인-기초 실험을 개발하는 것은 장려하여야 한다. 암 발생 역할에서 공통된 기작의 명확한 명시는 STAT3 활성의 억제제와 같은 IL-6R 계의 신호 성분을 전략적 표적으로 개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IL-6와 IL-6R계는 특수성이 있고, 하류의 전사 인자인 STAT3은 난소암을 포함한 여러 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억제제는 표준 항암제와 함께 사용하여, 특수 신호를 저지하는 작용을 하고, 특히 재발 방지와 약물 저항성을 극복하는데 효과가 있어, 앞으로 임상에 사용 가능성이 높다. 국내에서는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이회영 박사팀이 난소암 세포에서 LPA(lysophosphatidic acid)에 의하여 유도된 STAT3의 인산화와 암 세포 이동을 커큐민(curcumin)이 억제하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난소암에서 천연물인 커큐민이 난소암의 이동과 침윤을 저지하여 암 발생을 예방하는 좋은 효과가 있고, 앞으로 동물 실험과 임상 시험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고, 그 결과가 기대된다.
- 저자
- J Kumar and A C War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845()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7~125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