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북부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퇴적 특성 및 집적모델
- 전문가 제언
-
○ 남중국해(SCS)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집적 및 탐사에 양호한 조건을 보이며, 해저모방반사면(BSR)이 SCS에 넓게 분포된다. 탄성파 층서법 및 순차 층서법을 이용해서 후기 마이오세 이후에 퇴적된 3개 시퀀스에서 BSRs의 공간적분포를 확인하였다. SCS북부에서 퇴적체분석과 함께 가스기원의 조건, 이동통로, 열 유량 값, 산출상태 특징, 퇴적조건 등을 종합분석해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집적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온도, 압력, 가스기원 등과 같은 기본적인 열역학적 제어조건뿐 아니라, SCS 내 BSRs의 존재를 위해서는 특별한 지질조건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에 근거해서 전형적인 퇴적집적모델을 확립하였다. 이 모델은 대륙붕, 대륙 사면, 대륙대에서의 각각의 퇴적시스템 분포를 요약하고, 가스 하이드레이트 집적의 전형적인 요소를 보여준다.
○ BSRs는 대륙 사면-대륙붕 단 지역, 심해 중력류, 등고선류 지역에 많이 분포되며, Shenhu 시추지역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하는 퇴적물은 약 70%의 실트 함량을 갖는 실트 혹은 이암이 대부분이다. 대륙붕에서 BSRs는 횡적으로 연속적이며,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및 집적의 열쇠는 가스운반과 이동조건에 달려있다. 대륙 사면에서 대부분의 BSRs는 장기간 융기 및 침강되어 경사가 급하고 기복이 심한 지역과 관련되고, 대륙대에서 BSRs는 해저선상지, 저탁류퇴적층에서 나타난다.
○ 한국의 울릉분지에서는 비교적 조밀한 간격으로 상당량의 2D탄성파탐사를 실시하였고,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 가능지역에 대하여 3D탄성파탐사를 실시하였다. 가스침니 구조를 다수 발견하였으며, 많은 곳에서 BSRs를 확인하였다. 대표적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지역으로 확인된 UBGH1-10 지점에 대한 시추를 실시하였으며, 지질학적, 지구화학적, 지구물리학적 종합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및 집적의 특성과 모델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이 논문이 이용될 수 있다.
- 저자
- Xinghe Y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56()
- 잡지명
-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4~86
- 분석자
- 박*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