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스테이션용 셀프주유기의 UI개발
- 전문가 제언
-
○ 최근 주유소(서비스 스테이션)에서는 셀프주유기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기 일반화한 본 장치에서 알기 쉬움과 사용하기 쉬움은 일반고객만이 아니고 주유소 사업운영자에게도 매상 확대나 운용효율화의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로 되어있다. 그래서 업무과정의 분석, 검증, 평가 등 인간중심 설계(HCD) 전문가로부터 고객의 편리성을 최우선으로 배려하면서 사업경영자나 종업원도 만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개발하였다.
○ UI는 사람(사용자)과 사물 또는 시스템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접근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매개체를 뜻한다. UI는 사람들이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이다. UI는 물리적인 하드웨어와 논리적인 소프트웨어 요소를 포함하고 크게 입력과 출력과 같은 수단을 사용한다. UI를 판단하는 기준이 사용성이다. 좋은 UI는 심리학과 생리학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요소를 쉽게 찾고 사용하며 그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의도한 결과를 쉽게 얻어 낼 수 있어야 한다.
○ 국내도 저유가 유도를 위하여 2012년 11월 3일 알뜰주유소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2015년까지 전체주유소의 10%(1300여 스테이션)을 알뜰주유소로 설립하고 경비절감을 위한 셀프주유기 사용을 장려하여 상당히 보급되어 있는 상황이다. 국내 주유기업계 선두주자인 동화프라임은 일찍이 영국 Zytronic사의 터치스크린 제품을 도입하고 내장형 감시카메라와 같은 혁신기술을 도입한 MERIT 셀프주유기로 국내외시장 매출 증진에 기여하고 있어 고객이 직접주유하고 결재를 할 수 있는 사용하기 쉬운 편리한 UI 개념을 실천하고 있다.
○ 이러한 알뜰주유소와 셀프주유기의 정책 도입확대가 저유가 실천과 직접주유 및 자동결재 그리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웹 이용으로 운전자가 뉴스나 일기예보와 같은 유용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하고 안전한 UI의 활용이 증대될 것이다.
- 저자
- Hiroyuki ABE, Matsushi MOCHIMARU, Tonsoku TAKASHIMA, Touru MATSUSHITA, Ojinya INAHUNE, Naoki OZ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66(3)
- 잡지명
- NEC 技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84~88
- 분석자
- 권*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