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효율적인 정수장 운용을 위한 스마트한 관리 해법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의 2009년 기준으로 전국의 지방 상수도 정수시설은 총 508개소이며, 시설용량은 2,151만 6천m3/일이다. 이 중, 설치된 지 20년 이상 된 노후시설이 243개소로 전체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대규모 정수장이 대부분인 특?광역시가 33개소, 중소도시에서 운영하는 정수장이 226개소이다. 특히, 30년 이상 경과되어 시설물의 내구연한을 초과한 정수시설 79개소가 현재에도 운영되고 있어 시설, 공정개선을 통한 표준 정수시설 도입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양적 발전시기에 급속히 도입됐던 정수시설 등이 현재의 시점에서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급속히 보급되었던 정수시설은 급수보급률 확대라는 순기능을 했지만, 노후화된 시설과 후진적인 정수처리 방식으로 인한 역기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 현 시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정수방식별, 시설용량별로 정수시설을 분석한 결과, 시설용량 5천m3/일 이하의 소규모 시설이 318개소(60만 7천m3/일)로 전체의 62.6%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규모 시설의 정수방식은 대부분 기계식 여과기이거나 완속 여과 방식인 것으로 조사되어 소규모 시설일수록 정수처리 방식의 표준화 및 현대화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지자체로서는 유일하게 서울시가 정수장 등에 대한 자체기술진단을 시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올해(2014년)까지 10년간 약 230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2004년에 자체 기술진단기관으로 지정된 이래 6개 정수장, 5개 취수장에 대한 기술진단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진단을 위한 우수한 장비와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용역비를 줄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었다고 한다.

 

1991년에 일어난 낙동강 페놀 유출사건 등을 볼 때 취수원에 대한 보다 철저하고 안정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상수원을 오염시킨 범법자들에 대한 엄정하고 강력한 책임추궁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첨단 IT 기술의 도입으로 자동화, 정보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 소개된 일본의 예는 우리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SUGINO Toshiharu, YOKOKAWA Katsuya, ARIMURA Ryoi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69(5)
잡지명
東芝レビュ-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8~32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