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헬스케어 지원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가 제언

헬스케어란 넓은 의미로 기존의 치료 부문 의료서비스에다 질병 예방 및 관리 개념을 합친 전반적인 건강관리 사업을 일컫는다. 좁은 의미의 헬스케어는 원격 검진이나 방문 건강컨설팅 등의 사업을 지칭한다.

 

클라우드는 컴퓨팅 서비스 사업자 서버를 구름 모양으로 표시하는 관행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로 통한다.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 컴퓨터에 저장하고,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이다.

 

병원정보시스템(HIS)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향후 헬스케어 IT 시장에서 매출을 창출할 전망이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헬스케어 IT의 차세대 물결이 되고 있다. 헬스케어 IT 인증위원회(CCHIT, Certification Commission for Healthcare IT)에 따르면 현재 클라우드에서 EMR(전자의료기록) 폼을 제공하고 있는 벤더 수는 수백 개 사에 이르며, EMR 벤더는 병원의 소프트웨어와 기술 인프라를 관리하고 있다.

 

SKT는 올해 3월부터 국내에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헬스온” 상용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측정기를 이용해 개인의 운동량과 식단 등을 관리하며, SKT가 서울대학교 병원과 공동 개발해 세계 최초의 융합 의료서비스라는 점에 주목받았다. SKT는건강 관리 서비스, 스마트병원 솔루션, 모바일과 의료기기가 결합된 의료용 체외 진단기기를 3대 전략 분야로 선정하고 국내외 벤더와의 합작, R&D 조직 확대 등의 사업기반을 다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개방형 건강관리 플랫폼인 “삼성 디지털 헬스”를 공개했다. 하드웨어 플랫폼으로는 손목밴드 형태의 기기인 “심밴드”를,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는 “사미”(SAMI)를 각각 선보였다. 의료기기의 시장에서 뒤쳐진 우리나라는 의료기기와 ICT의 융합기술인 헬스케어 산업에 보다 적극적인 투자와 개발로 헬스케어 산업분야의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저자
Nabil Sult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34()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77~184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