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인 클라우드 컴퓨팅의 위험요소

전문가 제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클라우드로 표현되는 인터넷상의 서버에서 데이터 저장, 처리,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컴퓨팅 기술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을 바꿔 놓았지만,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를 불러왔다. 그리고 이는 주로 가시성 및 통제와 관련된 문제이다. IT 관리자들은 통제권을 잃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 다른 사람이 인프라를 책임을 지는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위험요소는 데이터 보안, 서비스 신뢰성, 소프트웨어 관리 측면의 위험들이 있다.

 

이러한 위험요소들이 있음에도, IBM이 전 세계 3,000명의 CIO(Chief Information Officer)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1 글로벌 CIO 스터디의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 CIO들은 기업의 혁신과 경쟁력 우위 확보를 위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대답했으며, 이는 2009년에 실시한 조사보다 2배가 높아진 수치이다. 나라별로는 한국, 미국, 일본이 70%로 클라우드 도입을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인 솔루션 업체인 시멘텍의 2013년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채용할 세계적인 기업이 90%가 넘는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IT 강국이라는 명성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도입률은 태국, 중국과 같은 정도로 32%선에 머물고 있다. 우리나라의 클라우드 시장은 2014년까지 4억 6천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향후 기업 수요 중심으로 클라우드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외국산 솔루션에 고착화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정착되고 있다. 이는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의 기술 발전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 각 부처와 산업계가 합심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술 개발, 표준화, 정보 보안 등에 집중 투자할 필요가 있다.

저자
XIE Xue-mei, ZHAO Yu-x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3
권(호)
20()
잡지명
The Journal of China Universities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05~112
분석자
심*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