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진폭발의 위험성과 대책
- 전문가 제언
-
분진폭발은 분진이 일정 농도 존재할 때 정전기 등에 의해 착화되어 폭발하는 현상이다. 분진폭발의 규모는 분체의 종류/입도나 프로세스 등의 영향을 받으며 중대재해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분체를 취급할 때는 폭발의 위험성을 정확히 평가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폭발은 ①가연물, ②산소 및 ③착화원의 3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보고서에서는 Ajinomoto사의 분진폭발에 대한 평가방법과 대책,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최근의 분진폭발 대책의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Ajinomoto사는 아미노산, 분체 조미료, 의약품, 전자재료 및 사료 등 다양한 분체를 대량 취급하므로 분진폭발과 인연이 깊다. 동사에서는 1964년 분진폭발성의 평가를 개시했으며 1970년대 전반에 연구소 내에 안전공학 그룹을 설치했다. 1987년에는 분체 취급 설비의 안전설계를 목적으로 실험방법과 평가지표를 표준화하여 분진폭발성 평가방법을 구축하고 폭발 대책을 설정했다.
- 저자
- Makoto OYAMA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78(3)
- 잡지명
- 化學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90~192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