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안전에서의 식중독과 역학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에서의 ‘식중독’의 정의는 ‘식품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질환 또는 독소형 질환을 말한다’로 되어 있다. 즉 식품과 함께 경구적으로 사람의 몸속으로 들어가 몸속에서 질환이나 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식중독이라 한다. 그러나 식품과 관련이 있지만 영양 과다, 영양 부족 등 영양소와 관련이 있는 것이거나 식품에 유독물질을 의도적으로 넣어 자살 또는 타살하는 경우는 비록 식품과 관련이 있지만 식중독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식중독이 발생하면 그 원인을 찾기 위해 관계 당국은 역학조사를 하게 된다. 역학조사를 하기 위해 집단급식소에서는 매일매일 제공된 식품을 1인 분량씩 멸균용기에 담아 144시간 냉동 보관하도록 되어 있으며 휴일이 포함되면 그만큼 기간이 연장되게 된다. 식품 외의 사용기구나 환경 등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원인을 밝히게 되는데 이 과정이 역학조사이다.

 

본 보고서는 식중독 역학조사에서 해야 하는 일, 역학조사 순서, 식중독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일본의 식중독 발생에 대한 병인물질, 원인식품, 원인시설, 그리고 이들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 랭킹에 대해 설명하였다.

 

우리나라의 2002~2013년까지 연도별 식중독 발생 현황(식약처)을 보면 2003년 이래 작년 처음으로 식중독 환자수가 4,958명(235건 발생)으로 5,000명 이하가 되었으며, 인구 100만 명당 100명 이하가 되어 식약처 목표 달성을 한 해가 되었다. 병인물질(원인물질)로 보았을 때, 12년간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환자수가 20,185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 환자수가 18,228명으로 많았다. 원인 시설별로는 학교(직영)가 12년간 25,852명(347건)으로 가장 많았다.

저자
TAKAHASHI Masahi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6(5)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1~30
분석자
백*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