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력에너지 변환시스템의 전기적 제어기법 현황

전문가 제언

한반도 근해 파력에너지 밀도를 보면, 동절기 남서해안에서는 북서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에너지 밀도가 25kW/m에 이르기도 한다. “신재생에너지 백서”에서는 한국의 해안선을 따라 총 9,979MW의 이론적 파력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한국에서 파도에너지 개발을 위한 기술 연구는 1990년대에 시작되었는데 아직 초보 단계에 머물러 있다. 산업계의 참여도는 매우 낮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개발에 앞장서고 일부 국책 연구원과 대학에서 동참하면서, 명맥을 잇고 있다. 특히 파력발전 시스템의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파력에너지를 실제 적용하려는 시도가 남부전력주식회사의 삼척화력발전소에 있었으며(2013년), 방파제에 Voith Hydro사의 시스템 600kW 급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소를 설치하려고 하였으나 수익성 부족 등의 사유로 포기하였다.

 

세계적으로 파력발전은 아직은 갈 길이 멀다. 많은 선구자적 기업가들이 학술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파력발전에 투자하였지만 거의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사업성 여부를 떠나 상용 시스템 판매를 꾸준히 하고 있는 회사 중의 하나는 이스라엘의 SDE사로 점흡수기(point absorber)이다. Voith Hydro사는 LIMPET를 인수하면서 자금난의 파력발전 산업계에 새로운 기대를 보여주었지만 지금은 사업을 접었다.

 

2014년 1월 14일 국무회의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2013~2035)을 확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2035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11%를 달성하는 목표를 설정해 놓고 있다. 하지만 정부 추진의 신재생에너지는 주로 태양광과 풍력으로서 안타깝게도 파력은 제외되어 있다.

 

사업성이 없을수록 우리에게는 기회가 된다. 세계가 방심하고 있는 사이 우리가 꾸준한 연구를 통하여 충분한 기술력을 확보해 놓으면 머지않아 갑자기 세계 제1위가 되어 보람을 찾을 것이다. 파력에너지 매장량은 그 어느 재생에너지 보다 풍부하기 때문이다.

저자
Hong, Yue ; Waters, Rafael; Bostrom, Cecilia; Eriksson, Mikael; Engstrom, Jens; Leijon, Mat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31()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29~342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