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전성 접착제 기술

전문가 제언

플라스틱계 재료가 범용화되면서 접착 접합기술은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 많은 제품이나 기기가 소형화, 컴팩트화 되는 가운데 다양한 고기능재료가 복합화 되고 제조나 조립공정이 합리화 되어 새로운 제품이나 기기의 고성능화, 고기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신규제품이나 기기의 개발을 지탱하는 것이 제조공정에서의 접착 접합기술이다.

 

최근에는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접착제가 개발되어 자동차, 전자산업 등에 활용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등의 지구 환경문제로 더욱 환경 친화적인 접착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접착제산업의 총생산액은 2008년도 기준 1조1,372억 원이며 일본 접착제공업회 조사에 의하면 2006년 출하량 기준으로 세계시장의 약 4.55%이다. 도전성 접착제의 2009년의 세계 시장규모는 등방성 접착제로 약 1,000억 원 규모이며 미국의 제조업체가 이 중에서 40%를 차지한다. 도전성 플라스틱의 특허는 LG, 코오롱, 금호산업, 동양나일론 등 주로 합성수지 제조업체에서 출원하고 한국화학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등 정부출연 연구소에서도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가 필요한 대전방지용이나 정전기 제거용 등의 도전성 플라스틱 제조기술은 활발하나 높은 전기전도도가 필요한 전자파 차폐용 도전성 플라스틱원재료 개발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의 접착제업체는 2011년 기준으로 총 245개로 중소규모의 기업에서 4,788명의 인원이 종사하고 있으며 이중 종업원 5~9인 이하의 영세규모 기업이 112개사이고 19인 이하의 기업수 비중이 76%이다. 전문성, 인력, 예산 등의 부족으로 교육여건이 취약한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교육을 국가차원에서 지원해야 한다. 친환경 고기능성 접착제에 대한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이 성과를 기업에 활용하여 구미 및 일본과의 기술격차를 극복하고 세계화 제품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저자
Katsuaki SUGANU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51(2)
잡지명
材料の科學と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2~47
분석자
강*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