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세롤의 촉매탈수에 의한 아크롤레인 합성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산물인 글리세롤의 양도 급격히 증가하여 기존의 수요가 과잉공급을 수용하지 못하게 되어 이를 활용하는 새로운 수요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 글리세롤은 여러 화합물로 변환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 공업화된 것은 에피클로로히드린이 있다. 바이오 메탄올 생산공장이 추진되고 있으나 글리세롤을 합성가스로 전환시킨 후 메탄올을 합성하는 공정이다. 그 밖에 글리세롤의 활용에 대한 것은 부분산화반응, 가수소 분해반응, 에테르화반응에 의해 생산할 수 있는 화합물들이 있지만 실험실 수준의 연구로서 공업화되지는 않았다.
○ 글리세롤의 탈수반응으로 아크롤레인을 합성하는 공정과 프로필렌의 산화공정을 비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상업화할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렇지만 촉매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진척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시범공장 수준의 시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국내에서는 지난 몇 년 동안 녹색화학이 중요과제로 떠오르면서 출연연구소와 유수한 대학에서 글리세롤의 탈수반응으로 아크롤레인을 합성하는 기초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였다. 그러면서 이 총설을 포함하여 많은 논문에서 여러 편의 논문이 인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공업화를 위한 개발연구는 착수하지 않은 것 같다.
○ 아크롤레인은 메티오닌의 합성 및 강력 흡수제로 사용하는 폴리아크릴산 등 공업적인 수요가 매우 크다. 특히 바이오 원료에서 생산하는 지속가능한 원료라는 점에서 글리세롤을 활용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저자
- Benjamin Katryniok, Sebastien Paul, and Franck Dumeigni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3
- 권(호)
- 3()
- 잡지명
- ACS Catalysi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19~1834
- 분석자
- 어*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