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생에너지와 기존 에너지의 수명주기 비용 평가: 핀란드의 경우

전문가 제언

핀란드의 건물에서는 주로 지역냉난방과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EU는 유럽 각국에 대해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990년 기준으로 60% 이상을 감축토록 요구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46%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전기 및 냉난방에너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뗘가 부과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물에너지 부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이 매우 중요하다.

 

이 자료는 EU의 이산화탄소 감축목표를 준수해야 하는 핀란드가 건물에너지 부문의 이산화탄소 감축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대표적인 병원건물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와 기존 에너지의 수명주기 동안의 비용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핀란드의 건물에서 가장 경제적인 난방방법은 나무 펠릿(wood pellet) 난방과 지열 난방이며 냉방의 경우는 압축기 냉방이 적합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결과는 화석연료의 가격 상승과 이산화탄소 배출비용이 포함된 결과이다.

 

우리나라는 임산자원이 많지 않아 나무를 난방이나 냉방에너지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핀란드와는 여러 가지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이 자료의 결과를 직접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우리나라는 주거부문의 에너지 소비비율이 전체 에너지의 18.7% 수준으로 다른 나라보다 많이 낮은 수준이지만 최근에는 소득 증가와 함께 이 비율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는 건물에너지 소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생활수준 향상과 함께 전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발전용량 개발과 전력품질 보장을 위한 예비전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원자력을 통해 화석연료 소비감소와 값싼 전력 공급 및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를 추구해왔는데 최근의 원전비리로 인한 원전 운전 중지 등으로 심각한 전력시스템 불안을 겪은 바 있다. 발전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발전기술의 활용이 필요한 시기이며 순수한 발전비용만으로 전력시스템을 평가할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나 화석연료가격 상승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전력시스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Mikko Kantola, Arto Saar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3
권(호)
57()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39~545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