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할 데이터 상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크리깅 보간법

전문가 제언

크리깅(kriging) 방법은 1951년 D. G. Kriging에 의하여 처음 제안된 방법으로 기존에 알고 있는 지점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같은 지역 내에 있는 관심 지점의 데이터를 추정하는 경험적 방법이다. 그 이후 이 방법은 여러 지질학자들에 의하여 보간법의 하나로서 수학적 모델로 정립되었고 이를 크리깅 방법 또는 크리깅 보간법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 방법은 공학분야를 비롯하여 지구통계학(geo-statistics) 분야에서 주로 활용된다.

 

지구통계학에서 크리깅은 만일 충분한 표본 측정치가 확보되면 지구 표면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그러나 충분한 수의 측정치를 획득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비하게 만든다. 따라서 서로 다른 회사들이 별도로 획득한 측정치를 가지고 공동 작업을 수행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측정치의 기밀성, 즉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한다.

 

이 논문은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두 부분으로 분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크리깅 기반 예측을 추정하고 동시에 클라이언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한 것으로서 이를 프라이버시, 성능 및 정확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이 프로토콜이 정확한 예측을 제공함을 보이고 있다.

 

크리깅 보간법과 관련한 국내의 연구는 2008년도에 전산구조공학회에서 발표된 2편의 논문이 전부이다. 이는 크리깅 보간법의 응용범위가 대부분 지구통계학 분야이고 국내의 지구통계학 연구가 아직은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향후 이 방법은 대기오염, 기후변화 및 강우량 추정과 같은 분야에서의 응용을 위하여 다중 데이터에 의한 보간법의 개발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크리깅 보간법을 이용하여 지구의 여러 현상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Bulent Tugrul , Huseyin Pola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62()
잡지명
Knowledge-Based System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8~46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