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결정이방성의 공업적 활용

전문가 제언

결정은 규칙적인 원자배열 때문에 그 물성에 고유의 이방성을 가진다. 실리콘반도체와 같은 단결정체 뿐만 아니라 전화사회를 지탱하는 일방향성 전기강판과 같이 다결정체에 있어서도 그 특성을 최대한 발휘시키는 기술은 공업적으로 유용하다.

 

이방성의 원인으로 생기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술의 기본은 결정은 그 자신의 이방성 때문에 결정립이 일정의 방향으로 배향하는(우선방위형성) 경향이 있게 된다.

 

결정이방성을 활용하는 집합조직제어는 전기강판 외에 중요한 성과로 자동차용 프레스용 강판의 개발이다. 현대의 자동차사회에서 디자이너가 요구하는 유선의 공기저항이 적은 차체를 실현하는 프레스가공용 강판도 결정이방성 활용의 우수한 예이다.

 

집합조직은 결정이방성과 크게 관련되어 있다.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의 집합조직은 지각변동이나 조산운동 등 지구의 역사를 나타내는 흔적으로 기록하고 지진예측을 위한 지질학 등 지구과학의 분야에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결정집합조직의 연구개발은 금속뿐만 아니라 암석광물 등 물질 전반에 미쳐 널리 확대되어 가는 중요한 학제분야라 할 수 있다.

 

국내 유일의 포스코에서 세계적 수준의 전기강판을 2013년 약 100만톤 생산하여 65%는 수출하였으며, 앞으로 생산제조기술을 향상시켜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또한 현대제철도 전기강판 개발 및 생산을 준비하고 있어 향후 값싼 중국산의 수입에 대비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국내 기술체제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
Matsuo Munetsug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84(4)
잡지명
金屬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17~323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