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형 가스에의 변혁기를 맞은 셰일가스의 진상
- 전문가 제언
-
○ 셰일가스개발이 북미만이 아니라 최근에는 중국, 호주, 인도, 유럽 등에서도 탐사나 생산 파이로트 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IEA나 국제석유개발정보 컨설턴트인 IHSCERA사는 셰일가스혁명이 본격화되면 친환경화석연료인 천연가스의 가채매장량이 현재의 47년에서 100년 가까이 대폭으로 증가되는 가스 황금시대가 도래되어 미국의 고용창출이나 경제재생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 2000년부터 10년간 미국의 천연가스 생산량에서 셰일가스 비율은 2000년 3%에서 2010년에는 24%로 급증하였다. 2010년의 셰일가스 생산량은 5.33Tcf에 대하여 2011년 7.60Tcf로 43% 급증하였다. 일본의 연간 가스 소비량은 약 3.53Tcf(약 1,000억m3)로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량은 일본 가스소비량의 1.5~2.2배 규모이다.
○ 미국 셰일가스개발은 1981년에 발견된 Texas주 Fort Worth시에 가까운 Barnett Shale이다. 파이오니아격인 Barnett Shale을 뒤따라 Fayetteville(AR), Woodford(OK), 2008년부터 Hayetteville(LA & TX)가 차례로 생산량을 늘려 최후에 2009년 이후에는 Marcellus(PA & WV)도 추가되어 셰일가스 생산량이 크게 신장하였다.
○ 우리나라는 셰일가스개발이 가져올 수 있는 국제에너지 산업구조변화에 주목하고 국내 기업들이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석유화학원료는 원유정제과정에서 추출되는 납사(naphtha)를 이용하므로 저렴한 석유화학제품 시장에서는 셰일가스 유래의 천연가스와의 가격경쟁에서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의 개발에 역점을 두고, 다른 한편 미국 셰일가스 관련기업과 M&A 등을 통해 미국 셰일가스시장에 진출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K. Fuji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3
- 권(호)
- 92(7)
- 잡지명
- 日本エネルギ―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28~535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