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학협력에 의한 지식창출과 이노베이션에 관한 연구

전문가 제언

일본정부는 산학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책을 과거 10여년 이상 추진하여 왔지만 대학으로부터의 기술이전 및 대학발 벤처창업 등의 관점에서 보면 많은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보고서는 이러한 과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산학협력 연구프로젝트에 종사한 국립대학 및 기업의 공동발명자에 대해 실시한 일본의 첫 번째 대규모조사(대학연구자 743명, 기업연구자 704명로부터의 응답, 2004~2007년도의 출원특허)의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산학협력 프로젝트의 참여 동기로서 기업연구자는「사업상 중요한 기술과제의 해결」이 중요하며 대학연구자는 「과학적 발견, 기술적 식견의 실용화에 의한 사회 환원」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학협력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시드 원천의 약 75%는 대학에 있지만 동시에 15%는 기업도 제공하고 있으며 특허출원의 84%가 공동출원이며 대부분 기업과 대학의 공동출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학협력 프로젝트의 창출된 최대 중요특허에 대해서 이미 상업화하고 있다는 응답이 전 응답의 16%이고 상업화된 발명 중 6%는 크게 매출에 공헌하고 있으며 기업규모가 작은 쪽이 상업화 실적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소규모기업연구자 45%, 대기업연구자 10% 응답).

 

우리나라도 산학협력을 통한 공동장비 활용, 기술인력 지원, 공동기술개발 및 기술지도가 추진되면서 기술개선, 신제품개발, 공정개선 등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정부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통하여 나온 특허 및 보유기술을 중소기업에게 무상으로 양허하는 사업을 전개하여 기술이전을 통한 신제품 개발 및 공정개선 등에 많은 연구 성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산학협력에 의한 지식창출에 관한 자료가 체계적으로 파악되고 있지 못하여 현행 일본과 같이 산학협력 프로젝트의 실상을 대학연구자와 기업연구자를 대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저자
NISTEP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3
권(호)
1(1)
잡지명
NISTEP조사자료 No.221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142
분석자
김*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