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신질환과 Reelin 신호체계의 이상

전문가 제언

Reelin은 세포외기질(ECM)로 분비되는 당단백질로 뇌 발생 동안에 세포-세포 상호작용을 통해서 신경세포 뉴런의 이동 과정과 위치 조정에 관여하는 신호분자이다. 초기 발생의 이와 같은 중요한 역할 외에도 이 단백질은 성체 뇌에서도 계속 작용한다. Reelin은 장기 강화작용의 유도와 유지를 촉진하여 신경 시냅스의 가소성을 조정한다. 이 단백질은 또 수상돌기와 수지상극 발생을 촉진하고, 성체 신경발생 장소에서 생성되는 신경모세포의 이동을 조정한다.

 

Reelin이란 이름은 갈지자걸음(reeling gate)을 하는 “reeler 마우스”에서 나온 말인데, 이 생쥐는 RELN 유전자 돌연변이의 동형접합으로 나타난 것이다. Reelin 기능의 소실과 연관된 표현형은 중추신경계의 발생을 통해서 신경세포의 위치조정 결함으로 나타난다. RELN 유전자의 이형접합 생쥐는 신경해부학적 결함은 별로 없지만 정신병 성향을 나타낸다.

 

사람에서 reelin 기능 이상은 몇몇 뇌질환과 관계가 있다. 정신분열증, 양극성 정동장애, 측두엽 간질, 알츠하이머병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 환자에서 reelin 발현 이상 또는 reelin 신호체계의 이상이 관찰된다. DNA 메틸화 양상의 변화가 종양세포에서 간혹 발견된다. RELN 유전자가 이런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한 연구에서 췌장암에서 이 유전자의 발현이 이런 식으로 억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 리뷰에서는 해마의 특정한 부위에서 reelin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glutamate 또는 억압성 신경전달물질 GABA와 같이 분비되어, 수용체 ApoER2와 VLDLR가 흥분성과 억압성 시냅스로 각각 분할함으로써 시냅스의 타입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낸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 저자들은 또 노인에서 일어나는 인지기능 저하와 알츠하이머병 같은 질환의 발병에 reelin 신호체계 조절 이상과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국내에서 reelin에 대한 연구는 상명대 박성수 연구팀이 생쥐모델에서 reelin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며, 신경과 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
Stranahan, A, M,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3
권(호)
12()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15~822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