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켈-아연 도금의 산화세륨효과
- 전문가 제언
-
Ni-Zn 도금에서 CeO2가 도금의 모양에 영향을 미친다. 두 가지 모양의 CeO2 입자(하나는 마이크로미터 규모, 다른 하나는 나노미터 규모)로 HER활성에 미치는 입자크기의 영향을 본 것을 정리한다.
Ni-Zn과 CeO2 복합전극의 모양은 Ni-Zn의 미세구조가 전형적인 꽃 모양이다. 마이크로미터 크기(1/1,000,000 m)의 CeO2 입자 도금표면모양은 Ni-Zn 도금모양과 비슷하고 나노미터 크기(1/1,000,000,000 m)는 Ni-Zn에 비하여 더 미세하고 조밀하다. 마이크로 크기와 나노 크기의 복합도금 표면미세구조는 박판구조가 여러 개 겹쳐있다.
Ni-Zn의 동시전착과정을 보면 변칙적이다. CeO2 입자 첨가로 복합도금에서 Zn의 비율이 늘어서 CeO2 입자위에 Hads 형성이 가속화 되고 이는 아연의 결정화에 유리하다.
원소를 분석해 보면 CeO2의 마이크로 입자가 나노입자보다 Ni-Zn 박층에 동시전착이 쉽다. 마이크로전극도금에서 CeO2 입자농도는 18.9%이지만, 나노전극도금은 6.9%에 불과하다. 이는 CeO2 입자의 공동석출함량이 줄어서 입자크기가 줄어든 탓이다.
- 저자
- Zhen Zheng et al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3
- 권(호)
- 222()
- 잡지명
- Journal of Power Sour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8~91
- 분석자
- 곽*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