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과정평가(LCA)의 최근동향

전문가 제언

LCA라는 용어는 1990년에 개최된 구미의 화학계 연구자로 조직된 환경독물화학학회(SETAC)의 국제워크숍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그 후 미국 및 유럽에서 1980년대부터 1990년 초에 걸쳐 SETEC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전되었고, 1992년의 지구정상회의 결과에 따라 국제표준화기구(ISO)가 환경관리시스템 규격의 검토에 착수함으로써 LCA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LCA는 제품의 생산단계에서 환경부하를 정량적이고도 통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인데, 지구온난화라는 지구환경문제가 중대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여러 가지 환경부하, 즉 에너지수지 밸런스를 계산해서 CO2, NOx, 오일 등의 영향을 평가하고 그 개선책을 이해당사자와 함께 논의해서 검토하는 매우 선진화된 제도이다.

 

국내에서는 환경부에서 CFP(Carbon Foot Print) 제도가 2009년에 개시되어, 환경산업기술원(KEITI)이 주관하고 있다. 이것은 개별 품목별 검증 외에 시스템 인증제도가 2010년 10월부터 개시되어 대기업들이 인증을 받았는데, 향후 더 많은 기업들이 인증을 획득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현재 에너지 사용제품에서 개별적으로 상세사용 시나리오가 정해져 있다. 우리나라의 프로그램에서 특징으로 평가되는 것은 「저탄소 인증제도」인데, 이것은 2가지 기준을 두고 있다. 첫째는 같은 제품분류로 인증을 받은 CFP의 평균치 이하인 것과, 둘째는 3년간 4.24%의 삭감률을 실현한 것으로 한다. 이 제도는 영국, 일본, 프랑스, 독일, 스웨덴 등 선진국에 앞선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KURISU Kiy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43(4)
잡지명
環境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5~219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