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 플라스마에 의한 PCB오염물의 처리

전문가 제언

PCB(Polychlorinated BinPhenyl)는 불연성이고 높은 전기절연성능이 있으며, 또한 비점이 높아 열분해하기 어려운 화학적 안정성으로 1960년대 까지 변압기 및 콘덴서의 절연유, 열교환기의 가열·냉각용 열매체, 감압복사지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68년 일본의 카네미 유증사건으로 PCB의 독성이 사회문제화 되어 일본은 1972년에 PCB 제조를 중지하였다. 지금까지 액상 PCB는 고온소각처리로 처리해 왔으나, 그 이외는 마땅한 처리방법이 없어서 사용이 종료된 기기는 처리가 가능할 때까지 보관하도록 의무화 하였다.

 

PCB는 다이옥신 등과 같이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의 일종이고 분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기 중 혹은 해양으로 계속 확산되어 북극권 등 PCB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 주민들의 모유에서도 PCB가 검출되는 등 지구규모의 환경오염이 문제가 대두되었다.

저자
Shigeyoshi TAGASHIRA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78(5)
잡지명
化學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3~335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