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카본나노튜브 초분자 복합체 이용 융합재료 합성과 광 기능

전문가 제언

카본나노튜브는 지난 30년간 발견된 새로운 재료들 중에서도 가장 흥미로운 재료라 할 수 있다. 카본나노튜브는 1991년에 일본의 Iijima가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두 개의 탄소 전극간의 아크에 의해 발생된 탄소 부산물들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다중벽 형태의 카본나노튜브를 최초로 발견하면서 관심을 모으기 시작했다.

 

카본나노튜브는 기계적 전기적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성질은 역으로 화학 물리적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연구자들은 카본재료의 우수성을 기반으로 하여 용도를 전기전자와 기계공학 및 촉매 등 응용을 넓히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 글에는 초음파와 원심분리의 이용, 무기재료와의 화합물 제조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 외에 우수한 연구로는 수지입자를 다른 전해질 용액을 이용하여 플러스, 마이너스로 대전시켜 정전작용으로 서로 흡착시키는 복합재료 제조 등이 있다.

 

이어서 철, 코발트, 니켈 등의 전이금속류를 함유한 전극을 이용한 아크방전 실험을 통해 다중벽 카본나노튜브보다 작은 1~2nm 직경의 단일벽 카본나노튜브가 생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1996년에 Smalley 등이 촉매를 이용하여 다량의 단일벽 카본나노튜브를 제조한 뒤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후 카본나노튜브의 합성, 정제, 개질, 분산기술과 관련된 연구결과와 함께 전기적, 물리적, 기계적, 화학적인 물성에 있어서의 우수한 특성들이 밝혀짐에 따라 다수의 응용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탄소산업은 비교적 역사가 짧아서 제일의 활성탄(1965), 럭키의 카본블랙(1969), 한국 파이버의 카본파이버(1981) 및 대우중공업의 C/C복합재료(1994) 등이 있다. 그 후 태광이 카본파이버(2001)를, 삼성 SDI가 CNT를 개발하였다(2005). 그 후 카본파이버는 풍차와 자동차에 쓰이면서 연구와 투자가 늘어났다. 현재는 전주시와 전북이 카본산업의 특성화를 전제로 조직적인 개발과 환경 친화적인 접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90개의 관련회사가 전북에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다.

저자
Yutaka Takagu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3
권(호)
2013(258)
잡지명
炭素(Tanso)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10~215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