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물 모델을 쓰는 메타 유전체학의 이용

전문가 제언

메타 유전체학은 자연환경 시료에서 직접 복구된 미생물군집 구성체의 집합적인 유전체 연구 분야이다. 배양하지 않고 클로닝하며 아직 배양할 수 없는 지구의 매우 다양한 미생물을 설명할 수 있다. 메타 유전체학은 감춰진 현미경적 생명체의 다양성을 밝힐 수 있어서 모든 생명체에 대한 이해를 혁신하여 미생물 세계를 보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한다.

 

모든 동물은 출생 직후부터 위장관에 미생물이 서식하는데, 숙주 소화기관과 상주 미생물총 사이의 상호작용은 경쟁, 협동 또는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차세대 서열결정법과 관련 오믹스 접근법은 장 미생물군이 숙주의 영양과 건강에 기여하는 기제의 이해에 대한 폭을 넓힌다.

 

작은 동물 모델은 메타 유전체학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심혈관 질병 병리학, 감염성 질병, 면역 항상성과 대장염 및 비만 등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큰 동물 모델, 특히 식품생산 동물에 대한 유전체학, 영양 및 재생산 등의 연구는 인간영양, 수유 및 비만의 기제 이해에 도움을 준다. 유대류의 비교 메타오믹 연구는 미생물군이 리그노셀룰로스 바이오매스를 전환하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고 호주에는 토착화된 가축의 탄소포획을 늘려 메탄 배출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식품과 장 미생물총 숙주 사이의 상호작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 상호작용의 생물학적 보강은 사람의 건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차세대 식품과 식이첨가물 개발로 이끌게 될 것이다. 이런 연구는 동물과 그 생산물을 변형시켜 발전시키려는 선진적 ‘청정 및 녹색’ 연구에 도움을 준다.

 

BT 연구와 실용화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식품, 생의학 및 환경 등에 이용하려는 메타 유전체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메타 유전체학을 이용한 사람 기도에서 채취한 미생물군의 분석연구, 메타유전체 염기서열 생성도구에 관한 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동물 특히 큰 동물 모델을 쓰는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저자
Mark Morri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3
권(호)
16()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30~635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